본 기사(Risk Management의 관점에서 본 올림픽)은 SIRI(Sport Industry Review & Information)의 창간특집으로 제작되었습니다.

*부편집장 주:

각종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았던 2014년을 마무리하는 시점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사건사고를 겪으며, 위기를 미리 예방하는 것과 위기에 처했을 때 어떻게 대처하는가가 중요한지를 인지할 수 있었습니다. 즉 우리 사회 모든 부분에서 ‘Risk Management’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스포츠이벤트에서도 ‘Risk Management’는 매우 중요한 사항입니다. 허나 마케팅, 미디어, 시설 등의 분야보다 주목 받지 못해 쉽게 간과하기 쉬운 부분이기도 합니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이란 대규모 메가 이벤트를 준비하는 입장에서, 스포츠 이벤트 속 ‘Risk Management’의 중요성을 되짚어 보기 위해 본 특집 기사를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사진1

 

4년마다 돌아오는 세계의 축제 올림픽은 종교적•민족적 이념의 반감을 가진 인물이나 테러단체들에게 이들의 이름을 알리고 요구를 관철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직접 테러를 하지 않음에도 이들의 존재와 메시지를 전 세계에 충분히 알릴 수 있기 때문이다. 비단 올림픽 뿐만 아니라 가장 근래에 있었던 보스턴 마라톤 대회의 테러와 같은 스포츠 이벤트도 테러의 표적이 되었다. 3명의 사망자와 100명이 넘는 부상을 발생시켰던 보스턴 마라톤대회 테러는 전 세계 언론의 이목을 집중 시켰다. 이처럼 스포츠 이벤트 테러는 테러리스트들의 목적과 메시지를 분명히 전할 수 있는 수단임에 틀림 없어지고 있다. 이러한 스포츠 이벤트 테러는 최근에만 발생한 것이 아니다.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살펴보면 1972년 뮌헨 올림픽과 1996년 애틀란타 올림픽 이 두 대회는 수많은 올림픽 테러 중에서도 대표적인 ‘피의 올림픽’으로 알려져 있다.

올림픽 테러의 가장 대표라고 할 수 있는 뮌헨 올림픽은 이스라엘과 적대 관계에 있던 팔레스타인의 무장조직 ‘검은 9월단’ 소속 단원 8명이 이스라엘 선수단 선수촌을 급습, 이스라엘에 수감중인 팔레스타인 양심수 234명의 석방을 요구하다가 실패해 요원 5명과 함께 선수 9명, 경찰 1명이 사망한 올림픽 사상 최초이자 최악의 참사로 기억되고 있다.

사진3

뮌헨 참사 이후 개최국과 IOC의 철저한 사전 예방 조치로 올림픽대회 중 테러가 발생한 경우는 한동안 없었다. 하지만 뮌헨 올림픽이 끝나고 약 20년이 지난 애틀란타 올림픽에서 반낙태• 반동성결혼주의자 1인 폭탄 테러로 인해 2명이 목숨을 잃고 100여명이 부상당했다.  애틀란타 올림픽 테러 이후 최근에는 베이징 올림픽에서 미국의 배구단이 급습을 당해 인명피해를 입었고 베이징 근처의 경제기술개발 구역에서는 폭탄테러를 당해 두 명의 사상자가 나타났다. 이러한 올림픽 대참사로 인해 IOC는 안전에 대한 예방과 경각심을 최고조로 강조하고 있고 대회 개최국은 보안 예산에 천문학적인 금액을 쏟아 부어왔다(2004 아테네 15억달러, 2008 중국 65억달러, 2010 밴쿠버 10억달러, 2012런던 15억달러).

IOC에서는 개최국에 대회의 안전에 대한 문제를 개최지 선정에서부터 대회 준비 중까지 계속해서 논의하며, 개최국들은 대회 전부터 안보와 위협에 대비해 안전 대응 교육, 특정 상황을 가정한 대응 훈련 등을 진행하기 시작했다. 불과 가장 최근에 있었던 2014 소치 동계 올림픽에서도 테러리즘에 대한 안전문제로 인해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  2013년 말에 러시아에서 잇달아 발생한 폭탄 테러, 러시아의 분리를 요구하는 체첸의 무장단체인 ‘검은 과부(Black widow)’의 잠입, 유럽 각국 올림픽 위원회에 전달되는 테러협박 이메일은 개최국 러시아를 비롯해 각국 선수단들에게 불안감을 가져다 줬다. 이에 러시아올림픽위원회 알렉산데로 주코프 위원장이 직접 나서 안전에 대한 예비조치를 취했다며 “위협에 신경 쓰지 말라”고 불안감을 잠재우기도 했다. 또한 러시아 푸틴 대통령은 테러 문제에 대한 대비로 소치를 중심으로 가로 70km, 세로 100km의 ‘강철 고리(Ring of steel)’라고 불리는 특별경계구역으로 설정, 5만 명의 경찰과 연방보안요원을 배치해 경계를 강화했다.

이러한 러시아의 안전 대책에 든 비용만 약 20억 달러(약 2조 1500억원)에 달했다. 이러한 테러 보안 뿐만 아니라 대회 개최국은 테러로 인해 올림픽이 취소될 경우를 대비해서 상당한 금액을 지불하고 Olympic liability insurance에 가입하기 시작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 당시 영국은 테러 혹은 자연 재해로 취소 될 경우 발생하는 중계권료, 입장료, 스폰서 등의 엄청난 액수의 금전적 손해 및 인명적 피해를 대비해 올림픽 책임 보험을 $170million(약 1조 3천억)이라는 돈을 주고 가입했다. 이는 단순 안전 보안에만 쓰는 비용이 아닌 추가적 비용임을 감안하면 엄청난 액수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IOC와 개최국은 올림픽의 테러를 예방하기 위해 많은 노력뿐만 아니라 천문학적인 금액을 쏟아 붓고 있다.

사진2

스포츠 이벤트에서 테러리스트들의 테러는 점차 특정 인물(VIP)에 대한 테러가 아니라 이해 관계가 얽히지 않은 불특정 다수를 향하고 있어 사람들의 불안함은 이벤트가 거듭될수록 고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비용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올림픽 개최국은 RISK MANAGEMENT를 필요 아닌 필수로 생각하고 이행하고 있다. RISK MANAGEMENT의 종류는 여러 가지로 나뉘지만(Financial, Geographical, Political…), 현 시점에서 논하고자 하는 분야는 올림픽 RISK MANAGEMENT 중 테러에 해당하는 Geopolitical Risk이다. 올림픽의 경우 아래 표와 같이 리스크의 빈도는 크지 않지만 리크스가 발생할 경우 큰 피해가 발생한다. 따라서 RISK REDUCTION에 해당하는 RISK MANAGEMENT가 존재해야 한다.

사진4

평창동계올림픽의 안전은?

그렇다면 돌아올 평창 동계올림픽에서의 RISK MANAGEMENT의 종류는 무엇일까? 언론에 심심치 않게 보도되는 환경문제, 재정적 문제도 중요한 이슈임에는 틀림 없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문제이자 전 세계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는 것은 테러리즘일 것이다. 테러리즘은 위에서 언급한 RISK Frequency가 낮지만 발생 시 Loss가 가장 큰 RISK임에 부정할 수 없다. 따라서 소치 올림픽이 끝나고 4년 뒤인 2018년에 평창 올림픽을 개최하는 우리나라도 안전 문제에 경각심을 가지고 준비를 해야 한다. 평창 올림픽 위원회는 안전 대비에 있어 안전 담당관을 선정한 것 외에는 별다른 움직임이 없을 뿐 더러 규모 조차 작다. 게다가 안전 대비책에 있어 내부 잡음이 끊이질 않는다. 내부 잡음의 시작은 얼마 전 있었던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이었다. 인천 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에서는 대회 개막 3달 전까지도 별다른 안전 매뉴얼이 없었다. 그러다 대회 도중 안전 문제 대응책으로 안전 비전문가인 국가정보원을 테러예방을 이유로 총책임의 자리에 앉혀놓았다.

‘2014 인천아시아경기대회 등 지원법’과 그 시행령을 보면 시설과 선수, 관람객 등의 안전을 책임지는 컨트롤타워인 대테러•안전대책위원회 위원장은 국정원장이 맡도록 규정했었다. 집행기구인 대테러•안전대책본부 본부장 역시 시행령에 따라 국정원 인천지부장이 맡았다. 이들의 업무는 대테러 외에도 시설 경비, 교통 관리, 화재 예방, 재난•재해 발생 시 구조•구급 활동까지 망라돼 있다. 국정원이 대규모 국제경기대회의 안전을 도맡은 이유는 ‘북한 위협’과 ‘테러 방지’의 이유뿐이었다. 이러한 국정원의 인천 아시안게임 어설픈 책임 이후 평창 동계 올림픽도 안전 문제를 또 한번 국정원이 도맡는 모습이다. 하지만 국정원장이 안전 총괄을 맡는 과정과 모양이 온전해 보이지 않는다. 평창동계올림픽 유치 신청 때 안전대책위원회의 위원장으로는 국정원장이 아닌 국무총리였다. 유치위원회가 2010년 12월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제출한 신청서를 살펴보면, 국무총리가 위원장인 안전대책 위원회 밑에 경찰청장이 본부장을 맡은 안전관리통제본부를 설치하기로 했다. 유치위원회는 경찰 1만4000명, 국정원 1000명, 소방대원 및 의료진 각각 1000명, 민간 안전요원 2000명, 안전 자원봉사 5000명 등 총 2만4000명의 안전인력을 투입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평창동계올림픽 지원에 관한 법률과 시행령에는 안전 총괄자가 국무총리가 아닌 국정원장으로 돼 있다. 이렇게 혼란스럽게 국정원장을 얹힌 이유로 조직위원회 관계자는 ‘경찰 조직이 안전 컨트롤타워를 맡는 것이 국제 관례에 맞지 않다는 판단 하에 결국 국정원이 컨트롤타워를 맡은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결정은 올림픽 안전문제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아니다. 국제 스포츠이벤트의 안전문제가 급부상하는 가운데 대외적 시선에 눈치를 보며 복잡하게 안전 책임자를 선임하고, 국정원장-경찰청장-하부로 이어지는 시스템은 테러와 같은 긴급 상황을 대체하기에는 수직적이고 비효율적이다. 게다가 과연 국정원이 전적인 책임을 가지고 스포츠 이벤트의 안전문제에 개입하는 것은 올바른 것일까? 산업안전대사전에 따르면 안전의 사전적 정의는 ‘안전이란 사람의 사망, 상해 또는 설비나 재산손해 또는 상실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상태가 전혀 없는 것’이라고 정의돼 있다. 하지만 국가정보원의 역할은 무엇인가? 국가정보원 공식 홈페이지(www.nis.go.kr)에 따르면 국정원의 주요 업무는 ‘국가의 안보를 위협하는 간첩 및 좌익사범 검거에 전력을 다함으로써 자유민주체제를 수호하는 것’이라고 공시되어 있다. 국정원의 주요 업무의 범위와 안전이라는 개념의 범위는 전혀 공통 지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렇다면 평창 동계올림픽의 안전문제는 어떻게 진행되어야 할 것일까? 우선적으로 앞서 언급했던 RISK REDUCTION에 해당하는 RISK MANAGEMENT를 계획해야 한다. RISK REDUCTION, 우리가 논하고 있는 테러 예방을 위한 테크닉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테러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최근 테러 수단의 추세는 첨단화 되었고 테러 집단의 조직화, 세계화, 지능화가 진행되면서 테러 전략 수정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과거의 인력중심 테러 대응으로는 첨단화, 국제화된 테러를 사전 파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공공장소에서 일반인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더군다나 무색무취, 무형의 무기, 미생물, 화학 관련 테러수단들은 과거의 육안확인 방식으로는 검출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미래지향적 테러 대응 전략 수립과 관련 대책을 세워야 한다. 그 전략으로 평창 올림픽 개최 전에 국제 공조에 의한 테러조직의 동향을 공유 받고 하이테크 기반의 무인화, 스마트화를 통해 24시간으로 검색, 대응할 수 있는 여건을 구축해야 한다. 이러한 대응을 하기 전에 앞서 국제 스포츠이벤트에서 테러 대책의 수단으로 사용했던 수단과 방법을 살펴보자.

사진5

2004년 그리스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알카에다의 테러를 우려하여 국제올림픽보안조언그룹(IOSAG)의 계획 아래 1320여대의 스파이 카메라와 마이크로폰이 컴퓨터 감시 네트워크(SAIC; Science Applications International Corp)에 연결되어 각국의 테러리스트 언어를 분석했다. 또한 미국, NATO 및 기타 서방진영의 국가의 해군과 공군을 파견하여 그리스의 영공, 영해를 감시하는 등 인력중심에서 하이네트워크 중심으로 테러의 대책안을 강구했다.

사진6

2006년 독일월드컵에서는 무색무취 위험물의 검출과 제거의 무인화를 시작하였다. 테러활동이 정교해지면서 단순 폭발물이나 총기류보다 위험한 핵, 전염성 병원균, 독성화학물질 및 자살폭탄 방식이 빈번해지고 있으나, 기존의 인력중심의 검문검색으로는 한계가 보이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독일의 Robowatch사는 카메라 감시 뿐 아니라 핵, 미생물, 독성화학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ASENDRO 센서와 궤도 이동형 ‘OFRO’로봇을 개발하여 월드컵 기간 중에 테러예방에 적용하였다.

 

사진7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서는 테러 안전의 방법으로 참가 선수의 증명사진, 상세여권정보, e-mail, 전화번호 등이 기록된 마이크로칩이 내장된 스캐너를 사용하여 즉시 신원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RFID/USN 응용 유비쿼터스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렇다면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는 테러에 대한 안전확보 전략으로 무엇이 있을까? 2018년에는 보다 빠르고, 보다 많은 정보량이 넓은 지역에 손쉽게 도달하는 제 4대 통신혁명(4G또는 Beyond 4G)이 펼쳐지는 시기로서 지휘(Command), 통제(Control), 통신(Communication), 컴퓨터(Computer)가 연동되는 C4I 기반의 육•해•공 광역 감시, 생체인식 기술에 기반한 신속 검문 검색, 카메라 마이크로폰 및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감시 및 테러의 사전 예방이 가능할 것이라 테러방지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공항과 철도는 실시간 검문 검색, 올림픽 대회 중 24시간 감시, 각 대회장에서 참석자의 개인 정보가 실시간 대조, 확인될 수 있도록 스마트 보안환경 구축을 준비해야 한다. 이러한 스마트화된 테러 예방 환경의 구축을 위해서는 위에서 언급한 과거 사용되었던 국제스포츠이벤트의 테러방지 기술의 사용과 국내외로 이와 관련한 산업의 발굴, 육성 및 연계가 필수적이라 생각한다.

최근 들어 이슬람 IS조직의 테러가 전 세계적인 이슈다. 비단 국제스포츠 이벤트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테러는 급속화되어 가고 있고 테러에 대한 공포감은 계속해서 확산되고 있다. 보스턴 마라톤과 같이 국제적인 스포츠이벤트가 아닌 한 나라 내부의 스포츠 이벤트마저 테러단체에 위협받는 실정이다. 최근 들어 올림픽, 월드컵과 같은 국제스포츠 이벤트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대회의 전반적인 안전이다. 올림픽이 거듭될수록 증가하는 테러와 테러에 대한 공포감은 세계의 축제 뒤에 내제되어가는 걱정 중 하나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올림픽의 안전은 대회의 성공을 판단하는 가장 중요한 척도가 되어가고 있고 IOC와 개최국은 개막과 폐막은 물론 대회 기간 동안 안전문제에 있어 사전에 철저한 예방을 하고 있다.

평창 동계올림픽은 아직까지 안전 문제에 있어 치밀하고 철저한 예방의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다. 오히려 내부 잡음으로 시름을 앓는 상황이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은 1988년 서울 올림픽이 개최한지 30년이 지난 해이다. 30년 전 올림픽의 테러예방 대책을 생각하고 움직이면 그건 크나큰 오산이 될 것이다. 테러의 수단이 점점 첨단화되고 다양화 되어가는 추세에 테러의 예방 수단도 이에 따라 스마트화 되어가고 있다. 지금까지 있었던 다른 나라의 올림픽과 같이 우리나라도 첨단화 기술을 받아들이고 더욱 개발하고 연구하여 지금부터라도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안전 대책을 강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과거 1988년 올림픽과 2002월드컵이라는 메가 스포츠 이벤트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던 우리의 경험과 최신 기술 및 잘 짜여진 Risk management plan을 통해 안전한 대회의 준비에 만전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참고

Mcst.go.kr (http://www.mcst.go.kr/web/s_notice/press/pressView.jsp?pSeq=13313)

Russiafocus.co.kr (http://russiafocus.co.kr/society/2014/01/29/100_43761.html))

Start.umd.edu (http://www.start.umd.edu/sites/default/files/files/publications/br/TerrorismAndOlympics.pdf)

Olymponomics (http://olymponomics.wordpress.com/2008/09/29/london-2012-olympic-risk-risk-management-and-olymponomics/)

평창 동계올림픽의 안전위협 요인과 대책 = The Factor of Threat of Safety and the Countermeasure in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남재성/강남수, 한국대테러학보

 

글 = 배성범

그래픽 = 정지원

1 COMMENT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