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RI=임민정 기자] 2026 시즌부터 K리그2에 새로운 바람이 분다. 용인 FC는 신생팀으로 리그에 합류하며 K리그의 새로운 변화를 이끈다. 수도권의 대도시인 용인에 프로팀이 자리 잡는 것은 지역 축구 확대와 리그 산업적 성장이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하지만 시작하기도 전부터 현실적인 문제가 함께 드러나고 있다.

먼저, 창단 발표 직후 공개된 구단 로고는 독창성 부족 논란에 휩싸였다. 해외 구단 로고와 유사하다거나 대충 만든 것 같다는 비판이 많았다. 단순한 디자인 논란을 넘어, 구단 정체성에 대한 설명이 어려웠다. 프로구단의 로고는 단순한 상징이 아니다. 머천다이징, 스폰서십, 팬 충성도 형성의 핵심 기반이다. 출범부터 이미지 훼손을 입는 것은 장기적인 산업적 가치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용인 FC 창단은 K리그2 참여구단 확대와 관련있다. 축구연맹은 경기 수 증가를 통해 중계권 가치 상승, 지역 균형 발전, 승강제의 긴장감 강화를 추구한다. 이는 리그의 장기적 성장을 위한 필수적 과정이다. 그러나 팀이 늘어나는 만큼 리그의 양만큼 질이 보장될 수 있느냐는 새로운 문제다.

신생 구단의 가장 큰 위험성은 재정 안정성이다. 이미 광주 FC 등 K리그의 일부 구단이 운영비 증가로 제재를 받는 상황이다. 수익이 확립되지 않은 용인 FC 역시 무시할 수 없다. 수도권 팬덤 분산, 전력 확보 한계, 지역 밀착 부족 역시 우려되는 부분이다. 팀 수의 확대가 리그 전체의 경기력 저하와 흥행 부진으로 이어질 걱정에 놓인다.

그렇다고 부정적으로만 평가할 필요는 없다. 다양한 잡음들에 맞서 K리그가 더 성숙한 산업적 시스템을 구축할 계기를 마련 가능하다. 창단 승인 단계에서 재정 검증과 인프라 확보를 확실히 하고, 구단의 정체성과 브랜딩 전략을 강화한다면 K리그는 단순한 ‘양적 증가’가 아니라 ‘질적 성장’을 이끌 수 있다.

용인 FC의 출범은 K리그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이끌 기회다. 한국 프로축구가 수적 확대와 질적 성장을 어떻게 균형 있게 끌어갈 수 있는지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가 될 것이라 기대해본다.

스포츠미디어 시리(Sport Industry Review&Information)

임민정 기자(frawarenesss@naver.com)

[25.09.30 출처=용인 FC 공식 인스타그램]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